모르면 불법! 초소형카메라 ,캠코더 KC인증과 정품 구분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보안전문업체 히든캠 준월드입니다

오늘은 초소형카메라와 캠코더 제품의 KC인증 확인 방법, 캠코더의 다양한 기능과 캠코더 와 같은 기기의 정품과 비정품을 구분하는 법, 그리고 불법 캠코더 제품을 피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데 꼭 알아두셔야 할 내용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캠코더와 관련된 정보를 통해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초소형카메라뿐만 아니라 캠코더 사용 시 더욱 주의를 기울이시길 바랍니다.
캠코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보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우선 KC인증이란 무엇인지 아시나요?
저희 글 목록에 보시면 어떤관련인지 기재된 글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리며 간략이 안내 드리자면

KC(Korea Certification) 마크는 한국 내에서 판매·유통되는 전기·전자·생활용품이 안전·전파·환경 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하는 국가 단일 인증 제도입니다. 2009년 140여 개 개별 마크를 하나로 통합해 만들었으며, 제품 성격에 따라

  1. 전기·생활용품 안전(KC Safety)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안전관리법
  2. 전파·통신 적합성(KC EMC/무선) – 전파법(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
  3. 유아용품·필수 생활제품 등 기타 분야
    로 나뉩니다.
korea-kc-certification-marking-logo 모르면 불법! 초소형카메라 ,캠코더  KC인증과 정품 구분법 총정리

카메라 사양적용 법령·인증 유형대표 인증코드 예시비고
무선 기능 없음 (단순 기록, 유선/IP 전송)KC EMC ‘적합등록’ (EMC만)R-R-ABC-XXXX클록 주파수 > 9 kHz이면 EMC 대상
Wi-Fi / Bluetooth / 4G 등 무선 송·수신KC EMC ‘적합등록’ + RF 시험R-R-ABC-XXXX무선 모듈 KC 인증이 있더라도 최종 제품 시험 필요korea-certification.com
동봉 AC 어댑터KC Safety ‘안전확인’HU10…어댑터별로 별도 인증서 필요
리튬이온 배터리·팩KC Safety ‘전기안전확인’YU10…셀·팩 모두 시험 후 인증kcrlab.co.kr

주의: KC 인증은 촬영 행위의 합법성(몰카 단속) 과는 무관합니다. 성폭력처벌특례법·개인정보보호법 등 별도 법령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제가 위에 주의 사항에 내용을 드린 이유는 KC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하여
촬영 하였으니 초소형카메라 및 캠코더는 합법적일것이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셔셔 유의점에 대해 안내 드릴려고 합니다

위에 기재된 데로 초소형카메라 및 캠코더의 KC인증과 어떻게 사용하느냐는
아예 의미 자체가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희 준월드는 모든 초소형카메라 캠코더 전 제품을 KC인증을 받아 정식통관을 거쳐
입고된 제품들이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만

이 제품을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하실 경우 처벌받을수 있습니다

이전 게시글에 어떻게 사용해야 합법적인가에 대한 내용 읽고 오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초소형카메라 바르게 알고 사용하기 -합법적사용법 – 준월드)


초소형카메라를 검색하시다 보면 많은 종류가 있지만 이게 정품인지
아닌지 헷갈릴때가 많으실겁니다 저희 홈페이지 를 참고로 보면

image-4 모르면 불법! 초소형카메라 ,캠코더  KC인증과 정품 구분법 총정리

이렇게 저희는 모든 제품에 적합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 뿐만이 아닌 제품 하나 하나에 등록표기안내가 기재되어 출고 되고 있습니다

해외직구 제품 또한 정식 통관을 거쳐 판매되고 있다보니 저희는 해외에 직접 사무실을 두고 해외사무실에서 제품을 출고 드리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건 3가지만 추려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시점 / 사례어떻게 팔았나드러난 피해·위험비고
① 2023. 4 부산세관 4,903 대 일괄 압수중국제 변형카메라를 150 달러 이하 ‘직구·병행수입품’ 인 듯 꾸며 목록통관→
온라인몰에서 “KC 필요 없는 해외정품” 문구로 판매
• 세관 현품 255 대 즉시 압수, 나머지 전량 파기 명령
• 구매자는 환불·A/S 거부, 판매업자 관세법·전파법 입건
시계·보조배터리·면도기 형태까지 다양
② 2024. 4 ‘C-커머스’(알리·테무) 직구 확산휴지곽·커피컵 등 위장형 카메라를 “EU 병행수입”, “CE 완료”로 표기 후 2만~4만 원에 배송 (3일 특급)• KC 미인증 탓에 통관 보류·폐기 사례 급증
• 리튬배터리 발열·무선 전파 혼선 사고 위험
• 소비자, 결제액·국제운송비 전액 손실
기사 인터뷰: “요즘 몰카는 오히려 해외직구가 90 % 이상”
③ 2017. 10 평택경찰서 ‘중고 재판매’ 입건6만8천 원에 직구한 미니카메라를 “병행 정품”이라며 중고거래로 되팔아• 구매자-판매자 모두 전파법 위반 형사 입건
• 중고 사이트 계정 정지·벌금 위험
개인 간 거래라도 ‘KC 없으면 불법유통’ 판례

여러분도 피해 없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캠코더 제품 배치로 여러 불안 요소에서
벗어나실수 있었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 피해를 최대한 출일수 있는 구매 전 체크 리스트
간단히 안내 드립니다

단계간단 확인법핵심 포인트
① KC 진위 검색제품·광고에 적힌 R-R-XXX-모델명국립전파연구원 (RRA) 포털에 즉시 조회결과가 ‘등록’이 아니면 99 % 불법
② 수입형태·사업자 확인상세페이지에 “병행수입자·수입신고번호·통관고유부호” 명시 여부정보 누락 + 지나친 저가(정가-30 %↓) = 고위험
③ 안전부품 별도 KC배터리 YU/XU…, 어댑터 HU… 코드 존재 여부부품 KC가 없으면 화재·감전 사고 소지

요약
“병행수입” 딱지나 저가 광고만으로 초소형카메라를 구매하면 세관 압수·A/S 거절·벌금 등 복합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KC 번호 실재 여부를 조회하고, 공식 총판·직영몰처럼 투명하게 인증서를 공개하는 판매처를 이용하세요. 합법 병행수입이라면 KC·수입신고 정보가 숨겨져 있을 이유가 없습니다.


이렇듯 초소형카메라 라고 해서 무조건 불법이 아니며, 또한 해외직구라 해서 무조건 나쁜게 아닙니다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정식 홈페이지에서 캠코더를 구매하시면 손해 없이 사용 하실수 있으십니다

오늘도 많이 도움이 되셨나요?? 제품 관련 궁금한 사항은 저희 준월드 카카오채널로
언제든 문의주세요 ~

https://pf.kakao.com/_eDJxcT/friend

준월드

합법 KC인증, 자체제작 초소형카메라 전문점 히든캠 준월드

🏠 자사몰 : https://www.jun-world.com/

​​📞 전화 문의 : ​02-2619-0607